1. 잘못된 일반과학상식들

 

(1) 대머리는 남자만 있다.

 

(X) : 여자도 대머리가 있습니다.

 

단지 남성과 패턴이 다를 뿐 입니다.

특히 요즘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도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탈모증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2) 머리를 샴푸로 감으면 더 빠진다.

 

(X) : 두피에는 우리 피부 보다 훨씬 많은 지방샘이 존재합니다.

 

, 보통 피부보다 훨씬 피지의 분비가 왕성하기 때문에 두피에서 생산되는 각질 세포(죽은 세포)와 먼지가 이러한 피지와 결합되어 많은 노폐물이 쌓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비누보다 세정력이 강한 샴푸로 머리를 감으시는 것이 노폐물 제거에 훨씬 효과적입니다.

 

(3) 머리는 매일 머리를 감지 않는 것이 좋다.

 

(X) : 머리를 감을 때 빠지는 모발은 전문 용어로 "휴지기의 모발"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휴지기의 모발들은 성장이 끝나고 쉬고 있는 모발로서, 샴푸를 하거나 머리를 빗을 때의 충격으로 빠져 나가게 됩니다. , 이미 빠질 모발이 빠지는 것이므로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빠진 모발이 새로운 모발로 대체가 되느냐 하는 것이므로, 모발은 빠지는 것보다 얼마만큼 다시 나는 가가 더욱 중요합니다. 두피는 남성의 경우 피지분비가 활발하므로, 적어도 하루에 한번은 감아서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여성의 경우 건성 두피 타입일 경우 이틀에 한번 정도 감아도 좋습니다.

 

(4) 혈액순환 촉진을 위해 두피에 자극을 주는 것이 좋으므로 자주 두드린다.

 

(X) : 두피는 혈행을 따라 부드럽게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좋으며 날카로운 빗 등으로 두드려서 자극을 주는 것은 모낭을 항진시켜 신체의 필요 이상으로 피지를 분비시키므로, 두피에 좋지 않은 환경을 제공하여 오히려 탈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모자를 쓰면 탈모가 된다.

 

(X) : 모자를 쓰는 것 자체가 탈모를 유발하진 않습니다.

 

다만, 여름철 같이 땀이 계속 머리에 남아서 통기가 잘 안되는 경우, 두피가 청결하지 않을 수 있어 탈모 촉진의 환경을 줄 수는 있습니다.

 

(6) 유전에 의한 탈모는 어쩔 수가 없다.

 

(X) : 유전적 요인은 분명 탈모의 중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심장병 환자가 식이 요법, 즉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은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심장병의 발병 위험을 줄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전인자가 탈모를 유발하는 수용인자로 전환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충분히 어느 정도 지연 또는 완화가 가능합니다.

 

(7) 대머리는 정력이 좋다.

 

(X) : 동서양이나 이런 잘못된 개념은 있습니다만 과학적으로는 근거가 전혀 없는 낭설입니다.

 

(8) 면도를 하면 머리가 더 굵게 많이 난다.

 

(X) : 면도를 하게 되면 성장기에 있는 모발의 단면이 드러나게 되므로 더 굵고 많이 나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더 굵게 많이 난다는 결과는 보고된 바 없습니다.

 

(9) 갈릴레이는 피사의 사탑에서 물체의 낙하실험을 하였다.

 

(X) : 근대과학의 아버지라 일컬어지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업적은 매우 많으나, 그중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가벼운 물체나 무거운 물체나 같은 속도로 낙하" 한다는 사실을 밝힌 것입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갈릴레이가 그 유명한 피사의 사탑에서 두 공의 낙하를 실제로 실험하여, 이것 을 증명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 알려진 과학사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사실 피사의 사탑은 갈릴레이가 생존했던 시대에도 이미 기울어져 있었다고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갈릴 레이는 그곳에서 물체의 낙하실험을 한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10) 뉴튼은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하였다.

 

(X) : 너무도 유명한 이 이야기에도 과학사학자들간에 무척 논란이 많습니다. 사과 떨어지는 것을 보고 물리법 칙을 세웠다면, 누군들 못했겠냐고 일축해 버리는 사람들도 무척 많습니다. 물체가 떨어지는 것이 지구인력의 작용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그전에도 많이 있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지구의 인력으로 사과가 떨어졌다." 고 생각한데에 그친 것이 아니라, "사과를 떨어지게 한 지구의 인력이 하늘에 떠 있는 달의 운동 에도 영향을 미친다." 고 설명한 것입니다.

 

(11) 와트(J. Watt)는 수증기로 인하여 물주전자의 뚜껑이 움직이는 것을 보고 증기기관을 발명하였다.

 

(X) : 제임스 와트의 증기기관은 산업혁명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 주역으로서, 기술 발달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와트가 증기기관을 "최초로" 발명한 것은 아닙니다. 토머스 뉴커멘이 발명한 증기기관 은 와트의 증기기관이 나오기 50년 전부터 영국의 탄광에서 지하수를 퍼올리는데 널리 쓰이고 있었습니다.

 

(12) 노벨은 자신이 발명한 다이너마이트가 군사 무기로 사용되는 것을 보고 낙담하여 노벨상을 제정하였다.

 

(X) : 다이너마이트가 군사무기로 이용되었다는 것 과 노벨이 자신의 발명품이 군사용 무기로 쓰이는 것을 반대하였다는 것은 잘못된 사실입니다.

 

2. 오염된 식수를 정화하는 박테리아

 

비소에 오염된 식수를 장기적으로 복용하면 피부 손상과 피부, 신장, 폐 그리고 허파의 암을 유발할 수 있는데, 호주의 한 과학자가 비소에 오염된 식수를 깨끗이 정화시킬 수 있는-독소를 먹어 치우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 이 박테리아는 호주 외곽에 위치한 북부 지역과 빅토리아 주에 위치한 금광산에서 발견됐다.

2001년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방글라데시의 경우 총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약 57백만 명이 비소에 오염된 식수를 먹고 있다고 한다. 이 박테리아의 발견으로 비소에 오염된 식수로 고통을 받고 있는 많은 방글라데시아인들의 식수 개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출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신부전 증상, 회복, 치료  (1) 2023.04.28
역사의 개념  (0) 2018.07.15
지폐에 대해서  (0) 2018.07.15
짜장면에 관한 몇가지 흥미로운 팩트  (0) 2018.06.06
리더십 개발  (0) 2018.04.22
농업이 제조업이 될 수 있을까 2편  (0) 2018.04.22
농업이 제조업이 될수 있을까 1편  (0) 2018.04.22
유전자변형식품 GMO  (1) 2018.04.02

설정

트랙백

댓글